- [학생인터뷰] 의과학대학원 개별연구를 말하다-② Nguyen Chi Thien 학생
- 관리자 |
- 2021-10-22 16:31:24|
- 713
[학생인터뷰 - KAIST 바이오뇌공학과 Nguyen Chi Thien 학생(2학년)]

안녕하세요, 저는 KAIST 바이오뇌공학과 학사 2학년 Nguyen Chi Thien 입니다.
[Reasons for joining individual research]
생명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저는 개별연구가 실전 경험을 쌓을 뿐만 아니라 제가 연구를 하는 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카이스트 새내기 때부터 망설임 없이 개별연구와 학부연구프로그램(URP)에 참여했습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저는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생에서 반독립적인 연구원으로 변신할 수 있었습니다.
As a student who is majoring in Biological Sciences, I found that Individual Research is a chance to not only gain hands-on experience but also help me to develope a sense of doing research. Therefore, without any hesitation, I have participated in Individual Research and even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URP) since I was a freshman student at KAIST. Through these chances, I was able to transform from a naive freshman into a semi-independent researcher.
[Interested Field and current lab]
저는 새내기 때 박테리아 변형 공학과 단백질 생산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것은 대장균의 항체생성에 대한 저의 첫 연구로 이어졌습니다. 2학년이 되자마자 암생물학, 면역요법, RNA 생물학이 그 어느 때보다 흥미로워 보였습니다. 그것이 제가 세포와 암생물학에 대해 더 연구할 수 있는 질병기능유전체학 연구실에 들어가기로 결심한 이유입니다.
When I was a freshman, I was interested in bacteria strain engineering and protein production a lot. This has led to my first experience in researching about antibody production in Escherichia coli. As soon as I enter my sophomore year, Cancer biology, immunotherapy and RNA biology seem more interesting to me than ever before. That is why I decided to joined Disease Functional Genomics lab where I could study more about Cell and Cancer Biology.
[What I have learnt]
질병기능유전체학 연구실에서 저는 세포배양, immunocytochemistry, 그리고 다른 많은 것들을 포함한 세포들을 체외 수준에서 실험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우리 연구실에서, 암발생과 게놈 안정성에 있어 핵막 파열의 영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In Disease Functional Genomics lab, I learn how to experiment at in vitro evel with cell including cell culture, immunocytochemistry and many other things. n our lab, we are studying the impact of nuclear envelope rupture in cancer development and genomic stability.
[Advantages and Fascinating points]
개별연구의 장점은 이미 그 분야에서 훌륭한 경험과 지식을 가지고 있는 교수님이나 다른 랩메이트와 토론할 기회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희 연구소에서 개별연구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은 가장 흥미로운 점은 제가 제 아이디어들을 다른 랩메이트과 교수님께 발표할 기회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제가 미래에 독립적인 연구원이 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The advantages in Individual Study are that I have had many chances to discuss with professor and other lab members who already have great experience and knowledge in the field. And one of the most fascinating points I must mention about doing Individual Research in our lab is that I have many chances to present my ideas to other lab member and professor, and this helps me very much to become an independent researcher in the future.

안녕하세요, 저는 KAIST 바이오뇌공학과 학사 2학년 Nguyen Chi Thien 입니다.
[Reasons for joining individual research]
생명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저는 개별연구가 실전 경험을 쌓을 뿐만 아니라 제가 연구를 하는 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카이스트 새내기 때부터 망설임 없이 개별연구와 학부연구프로그램(URP)에 참여했습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저는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생에서 반독립적인 연구원으로 변신할 수 있었습니다.
As a student who is majoring in Biological Sciences, I found that Individual Research is a chance to not only gain hands-on experience but also help me to develope a sense of doing research. Therefore, without any hesitation, I have participated in Individual Research and even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URP) since I was a freshman student at KAIST. Through these chances, I was able to transform from a naive freshman into a semi-independent researcher.
[Interested Field and current lab]
저는 새내기 때 박테리아 변형 공학과 단백질 생산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것은 대장균의 항체생성에 대한 저의 첫 연구로 이어졌습니다. 2학년이 되자마자 암생물학, 면역요법, RNA 생물학이 그 어느 때보다 흥미로워 보였습니다. 그것이 제가 세포와 암생물학에 대해 더 연구할 수 있는 질병기능유전체학 연구실에 들어가기로 결심한 이유입니다.
When I was a freshman, I was interested in bacteria strain engineering and protein production a lot. This has led to my first experience in researching about antibody production in Escherichia coli. As soon as I enter my sophomore year, Cancer biology, immunotherapy and RNA biology seem more interesting to me than ever before. That is why I decided to joined Disease Functional Genomics lab where I could study more about Cell and Cancer Biology.
[What I have learnt]
질병기능유전체학 연구실에서 저는 세포배양, immunocytochemistry, 그리고 다른 많은 것들을 포함한 세포들을 체외 수준에서 실험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우리 연구실에서, 암발생과 게놈 안정성에 있어 핵막 파열의 영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In Disease Functional Genomics lab, I learn how to experiment at in vitro evel with cell including cell culture, immunocytochemistry and many other things. n our lab, we are studying the impact of nuclear envelope rupture in cancer development and genomic stability.
[Advantages and Fascinating points]
개별연구의 장점은 이미 그 분야에서 훌륭한 경험과 지식을 가지고 있는 교수님이나 다른 랩메이트와 토론할 기회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희 연구소에서 개별연구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은 가장 흥미로운 점은 제가 제 아이디어들을 다른 랩메이트과 교수님께 발표할 기회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제가 미래에 독립적인 연구원이 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The advantages in Individual Study are that I have had many chances to discuss with professor and other lab members who already have great experience and knowledge in the field. And one of the most fascinating points I must mention about doing Individual Research in our lab is that I have many chances to present my ideas to other lab member and professor, and this helps me very much to become an independent researcher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