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생인터뷰] 강준호 학생, KAIST 의과학대학 박사과정 4년
- 관리자 |
- 2023-05-09 16:48:53|
- 160

의과학대학원 학과 뉴스레터 인터뷰
박종은 교수님 연구실 강준호
박종은 교수님 연구실 소속으로 nature biotechnology에 2023년 2월에 (Single-cell mapping of combinatorial target antigens for CAR switches using logic gates)라는 제목의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1. 논문의 간단한 소개와, 해당 분야의 동향 및 전망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암 면역치료(Cancer immunotherapy)의 한 축인 CAR (Chimeric antigen receptor) 세포치료는 암세포만 골라서 공격하는 치료방법으로, 현재 림프종이나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의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고형암에도 CAR 세포치료를 적용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고형암의 이질성으로 암세포 특이적인 표적항원을 찾기가 쉽지 않고, CAR 세포치료가 암세포 이외에도 정상 세포를 공격하여 치명적인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아직 표준 치료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세포 단위의 정상 조직과 암 데이타를 수집하여 대규모 단일세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Deep-learning 알고리즘을 통해 암세포와 정상조직을 가장 잘 구분할 수 있는 유전자 조합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발견한 CAR 세포치료 타겟은 기존보다 암과 정상 세포를 잘 구별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항암 효과를 극대화 시켜, 꿈의 항암제로 불리는 CAR 세포치료의 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및 연구실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번 연구는 KAIST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님과 바이오 및 뇌공학과 최정균 교수님, 그리고 분당차병원 안희정 교수님, 카톨릭 의대 이혜옥 교수님 연구실의 공동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 (single-cell medical genomics lab)에서는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에서 단일 세포 단위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나, 연구 활동을 하시면서 느낀 점이 있으시다면?
저는 이번 연구를 통해 훌륭한 공동연구자와의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공동 제1저자인 권준하 박사님과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중에 공동 연구자 이상의 친한 형 동생으로 지내면서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던 것이 연구 진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4. 해당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저는 내과를 전공하고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으로 진학하였습니다. 기존에 병원에서 진행했던 연구들과는 달리 생명과학 분야 연구는 긴 호흡으로 진행이 되어 입학 후에 많이 당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좋은 연구주제와 훌륭한 공동연구자를 만나서 끈기있게 연구를 진행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pan-cancer single-cell atlas를 구성하여 암 면역치료의 다른 큰 한 축인 면역 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 치료 반응에 암의 미세환경에서 어떠한 인자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이 있다면 자유롭게 부탁드립니다.
이번 연구를 지도해주신 박종은 교수님과 최정균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박사학위 과정동안 동고동락하고 후속연구까지 물심양면으로 도와주고 있는 권준하 박사님과, 연구가 잘 수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신 모든 공저자 선생님들께도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응원하고 큰 힘이되어준 아내와 부모님께 감사하다는 말 전합니다.